분류 전체보기
-
종묘와 종묘제례악, 유교 정치철학의 공간이 세계사와 만나다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7. 12:54
종묘, 왕조의 사당을 넘어 문명의 질서를 담다종묘(宗廟)는 조선 왕조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으로, 1394년 한양 천도와 함께 창건되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 세계 유일의 유교식 왕실 사당입니다. 단순한 제사 공간이 아니라 정치 질서, 사회 윤리, 철학 이념이 입체적으로 구현된 공간으로 한국사의 핵심 유산이자 세계사적으로도 유례 없는 유교 건축물입니다.1995년 유네스코는 종묘를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면서 "동아시아 유교 정치철학이 물리적 공간으로 완성된 상징적 구조"라 평가했습니다. 종묘는 한쪽에 종묘 정전, 다른 쪽에 영녕전이 배치된 구조로, 단순한 좌우 대칭이 아니라 종법 질서와 위계 구조를 반영한 질서 있는 권위의 상징입니다.이는 서양의 왕릉이나 교회, 중국의 태묘(..
-
한양도성, 조선이 성벽에 새긴 도시 철학: 세계사 속 성곽도시의 모범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7. 01:14
한양도성, 조선이 새롭게 설계한 수도의 경계1394년 조선은 개경을 버리고 한양을 새 수도로 정합니다. 조선 건국의 주역 태조 이성계는 단지 천도만으로 만족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새 왕조가 추구하는 유교적 이상과 방어 전략, 행정 효율을 통합할 수 있는 전례 없는 도시계획을 세웁니다. 그 핵심이 바로 한양도성입니다.한양도성은 북악산, 인왕산, 낙산, 남산 등 서울을 둘러싼 내사산 능선을 따라 약 18.6km 길이로 조성된 성벽입니다. 단순한 방어 시설이 아니라, 왕조가 구상한 수도의 이념과 체제를 물리적으로 실현한 공간이었습니다. 이는 한국사 속 도시계획의 정점일 뿐 아니라 세계사적으로도 유례가 드문 '성곽 수도'의 살아 있는 유산입니다. 특히 한양도성은 물리적 경계뿐만 아니라 수도의 정치적 위계와 질서..
-
세계사 속 한국사: 서양 종교 가톨릭이 동아시아에 닿기까지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6. 20:34
서양 종교 가톨릭, 대항해 시대와 함께 동아시아를 향하다서양 종교 가톨릭은 16세기 대항해 시대를 배경으로 동아시아에 처음 발을 들였습니다. 유럽이 신대륙과 아시아로 눈을 돌리며 상업과 제국의 확장을 시도하던 이 시기,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신앙 전파라는 명분 아래 아시아로 향했습니다. 가톨릭 선교사들은 신대륙과 동남아시아에 이어 일본, 중국, 조선으로까지 그 활동 반경을 넓혀 나갔습니다.이러한 흐름의 중심에는 예수회가 있었습니다. 예수회는 지식과 과학, 문화로 무장한 선교를 통해 단순한 전도 이상의 방식으로 접근했습니다. 특히 중국에서는 천문학, 수학, 의학을 전파하며 '서학'이라는 이름으로 가톨릭 교리를 자연스럽게 녹여 넣었습니다. 동아시아에서 가톨릭은 단순히 서양 종교로서가 아니라, 새로운 지식과 문..
-
신항로 개척의 시대, 조선은 무엇을 보고 있었는가? - 유럽의 바다 진출과 조선의 세계 인식 비교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6. 14:47
유럽, 바다를 통해 새로운 세계를 만나다15세기 중엽, 오스만튀르크가 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을 함락한 사건은 유럽인들에게 커다란 충격이었습니다. 실크로드가 단절되자, 동방의 향신료와 비단을 얻을 수 있는 무역로가 막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유럽은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했습니다. 유럽인들은 지리학, 천문학, 항해술의 발달을 바탕으로 미지의 바다로 나아갔습니다. 나침반, 해시계, 정밀한 항해지도, 캐러벨(Caravel) 선박 같은 도구들이 이러한 항해를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콜럼버스는 대서양을 가로질러 신대륙을 유럽에 알렸고, 바스쿠 다가마는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 인도까지 가는 항로를 개척했습니다. 마젤란의 선단은 인류 최초로 세계를 일주하며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실증했습니다. 이러한 대항해 시대는 ..
-
한국 화약 무기의 혁신과 세계사의 시선: 세종대의 신기전은 현대 로켓의 선조인가?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6. 06:38
신기전, 세종 시대 조선의 기술이 낳은 화약 무기 혁명세종 시대의 신기전은 조선 과학기술의 정점이자 동아시아 무기 개발사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합니다. 신기전(神機箭)은 단순한 화살이 아닌, 화약을 추진력으로 삼아 멀리 날아가 폭발하는 '로켓형 무기'였습니다. 병기총서인 『무기도설』과 『총통등록』 등에 따르면, 신기전은 크기와 용도에 따라 대신기전, 중신기전, 소신기전으로 구분되었고, 각각 100~500m 이상의 사거리와 폭발력을 지녔습니다.조선은 신기전의 안정적인 발사를 위해 '신기전통'이라는 전용 발사대를 함께 개발했고, 한 번에 여러 발을 쏠 수 있는 다연장 시스템도 갖췄습니다. 이는 오늘날 로켓포나 다연장 로켓 발사기(MLRS)와 유사한 구조로 평가받습니다. 조선은 단순히 무기를 만드는 데 그치..
-
팔만대장경과 해인사 장경판전: 세계사 속 불교 기록문화의 절정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6. 01:03
한국사 속 불교 기록문화, 세계기록유산으로 우뚝 서다한국사는 단지 정치, 군사 중심의 역사가 아니라 기록과 지식의 전통에서도 탁월한 문화유산을 남긴 역사입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팔만대장경(고려대장경)과 이를 보관한 해인사 장경판전입니다. 이 두 유산은 각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함께 등재되어 있습니다. 이는 팔만대장경과 해인사 장경판전이 단지 오래된 문화재가 아니라 세계사적인 인류 지성의 결정체로 평가받았다는 이야기이지요.팔만대장경은 고려 시대 대몽항쟁기였던 13세기 중반, 불교의 진리를 바탕으로 국난을 극복하고자 하는 정신에서 태어난 목판 인쇄 경전 집대성본입니다. 총 81,258장의 목판에 새겨진 경전은 내용, 정교함, 보존성, 철학성 등 모든 면에서 세계적으로 유례..
-
거란에서 청까지, 고려와 조선을 흔든 북방 민족의 흥망성쇠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5. 18:22
거란의 부상과 '요' 제국의 등장거란은 916년,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여러 유목 부족을 통합하면서 세운 나라입니다. 이 나라는 이후 국호를 '요(遼)'로 바꾸며 동아시아 강국으로 성장합니다. 요나라가 동북아시아 질서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사건은 925년 발해 침공이었습니다. 발해는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이 세운 나라로, 고구려의 정신적 계승자였습니다. 그 발해를 멸망시킨 요나라는 이후 만리장성을 넘어 연운 16주라는 요충지를 확보하며 중국 북부를 장악하기 시작합니다. 당시 이민족에게 연운 16주가 넘어갔다는 사실은 중국 한족 정권에게 엄청난 자존심의 상처였지요.하지만 고려에게 요는 단순한 강국이 아니라 발해를 멸망시킨 원수였습니다. 고려는 고구려와 발해의 계승을 자임하며 민족적 자긍심을 바탕으로 요와 ..
-
세계사 속 한국사: 한반도 고인돌, 세계를 잇는 거석의 유산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5. 12:49
한반도는 세계 고인돌의 중심지다고인돌은 전 세계에 걸쳐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지만, 그중에서도 한반도는 유독 밀집된 분포를 보이는 특별한 지역입니다. 고인돌, 즉 '돌을 올린 무덤'은 선사시대 인류가 만든 대표적인 묘제 유산으로, 유럽에서는 '돌멘(dolmen)'이라 부르며, 프랑스, 영국, 스페인, 스칸디나비아반도 등지에서도 발견됩니다. 하지만 고인돌이 가장 많이 집중적으로 발견된 곳은 다름 아닌 한반도입니다. 현재까지 한반도에서 확인된 고인돌은 약 3만 개에 이르며, 이는 전 세계 고인돌의 약 40% 이상을 차지하는 수치입니다. 특히 전북 고창, 전남 화순, 경기 강화에 분포한 고인돌 군은 200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중요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이 같은 분포와 규모는 단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