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로마사와 카토: 원로원의 수호자이자 완고한 보수주의자로마사 2025. 9. 29. 03:46
로마사와 카토, 공화정 정신의 화신로마사 속에서 카토(Cato)는 원로원의 권위를 지키고 공화정적 이상을 수호하려 했던 인물로 기록된다. 그는 기원전 234년 라티움의 투스쿨룸 근처에서 태어나, 농민 가정에서 성장했다. 당시 로마 사회는 정복 전쟁을 통해 부와 권력을 빠르게 축적하던 시기였고, 그만큼 사치와 향락이 귀족 사회 전반에 퍼지고 있었다. 그러나 카토는 농민 출신이라는 출발점에도 불구하고, 절제와 근검을 최고의 가치로 내세우며 정치 무대에 등장했다. 그의 정치적 발언과 행동은 언제나 '공화정의 정신을 되살려야 한다'는 강렬한 메시지를 담고 있었으며, 이는 그를 당대의 대표적 보수주의자로 만들었다. 고대 로마사에서 카토는 단순히 '보수적인 정치인'이 아니라 퇴폐적 변화를 막고자 한 '정신적 수호자..
-
로마사 속 카틸리나 음모 사건: 공화정의 어두운 그림자로마사 2025. 9. 27. 04:17
로마사 속 카틸리나 음모 사건, 몰락해가는 공화정의 전조로마사 속 카틸리나 음모 사건은 기원전 63년, 이미 흔들리던 로마 공화정의 기반이 드러난 사건이었다. 귀족 출신 정치가 루키우스 세르기우스 카틸리나는 여러 차례 집정관 선거에서 실패하면서 극단적 반란 계획을 세웠다. 그는 몰락 귀족과 채무에 허덕이는 청년, 군 복무 이후 보상받지 못한 베테랑 병사들을 규합해 원로원 체제의 전복을 도모했다. 이 음모는 로마 시를 방화하고, 주요 인물을 암살하며, 무력을 동원해 권력을 장악한다는 과격한 계획이었다. 그러나 사건의 핵심은 단순한 반역에 있지 않았다. 카틸리나 음모 사건은 이미 기득권 귀족 중심으로 경직된 공화정 체제가 다수 시민의 불만을 흡수하지 못하면서 내부로부터 붕괴해 가던 과정을 보여주는 전조였다...
-
로마사와 티베리우스: 그림자에 가려진 제국의 두 번째 황제로마사 2025. 9. 25. 23:58
로마사와 티베리우스: 불운하게 출발한 제국의 후계자로마사 속 티베리우스는 아우구스투스의 뒤를 이은 두 번째 황제였지만, 그의 삶은 언제나 그림자에 가려져 있었다. 그는 클라우디아 씨족 출신으로, 어머니 리비아가 아우구스투스와 제혼하면서 제국의 권력 구조 안으로 끌여들었다. 그러나 티베리우스는 처음부터 제국의 후계자로 길러진 인물이 아니었다. 오히려 아우구수투스의 양자로 입양되기까지 오랜 정치적 계산과 복잡한 가족사가 얽혀 있었다. 아우구스투스의 양자로 입양되기까지 오랜 정치적 계산과 복잡한 가족사가 얽혀 있었다. 아우구스투스는 가능한 한 자신의 혈통에서 후계자를 찾으려 했으나, 여러 잠재적 계승자가 요절하면서 결국 티베리우스가 선택되었다. 이는 그가 능력보다는 상황의 산물로 황제 자리에 올랐다는 인식을 ..
-
로마사 속 클라우디우스: 약점에서 드러난 제국 운영의 지혜로마사 2025. 9. 24. 21:46
로마사와 클라우디우스의 즉위: 약점이 기회가 되다로마사 속 클라우디우스는 예상 밖의 황제로 기억된다. 그는 신체적 장애와 더듬는 말투로 어릴 때부터 조롱을 받았고, 심지어 가족조차 정치적으로는 쓸모없는 인물로 여겼다. 하지만 바로 그 약점 덕분에 황제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는 사실은 흥미롭다. 칼리쿨라가 암살된 뒤, 로마는 혼란에 빠졌다. 원로원은 권력을 되찾으려 했지만, 근위대는 자신들이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황제를 원했다. 그 순간 눈에 띈 인물이 바로 클라우디우스였다. 귀족들에게는 위협이 되지 않을 것 같은 약자였지만, 군대에는 안정적인 지도자였다. 결국 원로원은 근위대의 힘에 밀려 클라우디우스를 황제로 인정했고, 무능해 보였단 사내는 로마 제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여기서 로마사는 겉으로 보이는..
-
로마사 속 마리우스: 평민 장군이 연 군사혁명의 길로마사 2025. 9. 23. 23:59
로마사와 마리우스: 평민 출신 장군의 등장로마사에서 마리우스는 신인(노부 출신이 아닌 인물)으로 정치 무대에 등장한 보기 드문 사례였다. 기원전 2세기 후반의 로마는 정복 전쟁의 확대와 경제적 격차 심화로 혼란이 가중되고 있었다. 귀족과 평민의 갈등은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실패 이후 더욱 날카오워졌고, 외부에서는 유그르타 전쟁과 게르만족의 침입이 로마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었다. 이러한 위기의 시기에 아르피눔 출신의 지방 평민 가문에서 태어난 마리우스가 로마 정치 무대에 부상했다. 그는 귀족 혈통이 아닌 농민 출신이었으나, 젊은 시절부터 군사적 재능을 드러내며 명문 귀족들의 눈에 띄었다. 특히 카이사르 가문과의 연계를 통해 정치적 후원을 확보하면서, 그는 점차 평민을 대표하는 정치인으로 자리매김했다. 평민..
-
서민의 목소리: 로마사 속 민중의 분노와 반란로마사 2025. 9. 21. 09:15
로마사와 민중의 분노, 그 뿌리는 찾아서로마사는 위대한 장군들의 정복과 제국의 영광만이 아니라, 소외된 민중의 분노와 좌절이 함께 얽힌 이야기다. 고대 로마사 속에서 민중이라 불린 평민과 무산 계층은 정치적으로 권리가 제한되고, 경제적으로는 빈곤과 빚에 허덕이며, 전쟁터에서는 제물처럼 소모되었다. 기원전 5세기, 귀족 중심의 공화정 체제는 농민의 삶을 파괴했다. 빚을 갚지 못한 자영농은 채무 노예로 전락했고, 귀족들은 이 상황을 이용해 권력과 부를 독점했다.이에 대한 최초의 집단 저항이 바로 성산 철수 사건이었다. 분노한 평민들이 집단적으로 도시를 떠나 성산에 모여 귀족들을 압박한 것이다. 당시 로마의 행정과 군사 체계는 평민의 노동과 병역에 의존했기에, 그들의 철수는 곧 국가 존립을 위협하는 행동이었다..
-
로마사 속 술라: 독재관을 통해 본 공화정의 몰락로마사 2025. 9. 20. 06:32
로마사와 술라의 등장: 내전과 권력 다툼의 시대로마사에서 술라(Lucius Cornelius Sulla)는 공화정 말기 가장 논쟁적인 인물 가운데 하나다. 기원전 2세기 말, 로마는 지중해 패권을 차지한 대제국으로 성장했으나 내부적으로는 심각한 균열에 시달렸다. 정복 전쟁의 전리품은 원로원 귀족과 신흥 지주에게 집중되었고, 소농민은 몰락해 도시 빈민층으로 전락했다. 또한 이탈리아 동맹시들은 로마 시민권을 요구하며 끊임없이 갈등을 일으켰다. 이러한 불안정 속에서 마리우스와 술라 같은 장군들이 정치 무대에 오르며 군사력이 정치 권력을 좌우하는 시대가 열렸다. 술라는 귀족 가문 출신이지만, 젊은 시절은 가난하게 보냈고, 전장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출세했다. 특히 유구르타 전쟁과 동방 원정에서 군사적 능력을 입증..
-
로마사 속 플리니우스: 베수비오 화산과 함께 사라진 지식인로마사 2025. 9. 19. 17:57
로마사 속 플리니우스의 등장: 제국의 백과사전적 지식인로마사 속 플리니우스(Plinius Maior, 기원전 23~79년)는 지식과 실천을 동시에 추구한 보기 드문 인물이다. 그는 로마 제국의 행정가이자 군인으로서 활약했으며, 동시에 문헌을 수집하고 지식을 정리하는 학자이자 작가로 이름을 남겼다. 로마 시민권을 가진 기사 계급 출신이었던 그는 일찍이 장군으로 복무하며 게르마니아 전선에 투입되었고, 황제의 신임을 받으며 제국 곳곳을 여행했다. 그러나 그를 후대에 각인시킨 것은 정치적, 군사적 경력이 아니라 방대한 저작 박물지(Naturalis Historia)였다. 총 37권으로 구성된 이 저작은 천문학에서 미술사까지 아우르는 방대한 지식의 보고로, 고데 로마사가 축적한 학문적 전통을 집대성한 결과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