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철학
-
로마사와 바로: 로마 지식인의 세계관과 학문의 뿌리로마사 2025. 9. 18. 18:15
로마사와 바로, 고대 로마 지식인의 초상로마사에서 바로(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 기원전 116~27년)는 흔히 가장 학식 있는 로마인으로 불린다. 정치가, 장군, 학자, 문필가라는 다채로운 이력을 지닌 그는 공화정 말기의 격변기를 살며, 혼란한 시대 속에서도 지식인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키케로가 그를 두고 "우리 시대에서 가장 다재다능한 인물"이라고 평가한 것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바로는 잚은 시절부터 정치에 발을 들였고, 술라의 내전과 카이사르의 정치적 부상 같은 혼란 속에서 군사적 경험도 쌓았다. 그러나 그가 진정으로 빛난 영역은 학문이었다. 그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며, 정치적 실패나 전쟁의 혼란 속에서도 학문적 탐구를 멈추지 않았다. 그에게 학문은 단순히 지적 유희가 아니라, 로마 사..
-
로마사 속 키케로: 웅변가의 정치와 철학적 유산로마사 2025. 9. 15. 22:54
로마사와 키케로, 공화정의 목소리로마사 속 키케로(Cicero)는 웅변과 지성을 무기로 삼아 정치의 중심으로 나아간 드문 인물이었다. 기원전 106년 아르피눔 출신으로 태어난 그는 로마 귀족 사회의 정통 혈통이 아니었다. 기사 계급 출신이라는 한계를 안고 있었지만, 법률가로서의 탁월한 재능과 논리적인 변론술, 누구도 따라오기 어려운 웅변술로 불리한 출발점을 극복했다. 그는 재판정에서 승리를 거듭하며 이름을 알렸고, 결국 원로원으로 진출하여 로마 정치의 한가운데에 서게 되었다. 특히 그의 연설은 '로마의 혀'라는 별명을 낳을 정도로 강렬했으며, 한마디 말로 군중의 여론을 바꾸고 원로원의 결정을 움직일 만큼 위력이 있었다.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기원전 63년 집정관으로 재임하던 시기에 터진 '카탈리나 음모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