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전파
-
불교로 세계를 품은 나라, 고려: 국교로서 불교의 세계사적 의미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4. 06:08
불교를 국교로 삼은 고려, 정치와 정신을 통합하다고려(918~1392)는 건국 초부터 불교를 국교로 공식 채택한 나라였습니다. 이는 국가 정체성과 정치 이념을 불교 위에 구축한 독특한 모델이었지요. 태조 왕건은 고려 건국 직후부터 왕즉불(王卽佛), 즉 국왕이 곧 부처의 대리인이라는 개념을 통해 불교적 이상과 왕권의 정당성을 연결시켰습니다. 이로써 고려의 불교는 개인의 수행이나 기복 신앙을 넘어, 국가를 지탱하는 중심 철학이자 대외 인식의 틀이 되었습니다. 특히 왕실과 귀족층이 불교를 전폭적으로 후원하면서, 고려는 사찰과 승려를 국가 체제 내에 편입시키고, 동시에 불교를 통한 대내 안정과 대외 위신 제고를 실현하고자 했습니다. 이는 서양 중세의 기독교 군주정과 유사한 구조로, 세계사적으로도 정치와 종교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