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유신
-
산업혁명과 제국주의 시대, 조선은 어떤 길을 걸었는가: 세계사 속 격변의 19세기와 조선의 대응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12. 07:03
산업혁명, 유럽을 공장에서 세계로 이끌다산업혁명은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시작된 세계사적 전환점입니다. 전통적인 수공업이 중심이던 산업 구조는 면직물 공업의 기계화와 함께 급속히 변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사람의 손을 대신할 수 있는 기계가 등장했고, 이어서 수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증기기관이 본격적으로 공장에 도입되었습니다. 이로써 생산은 이전보다 수십 배 이상 증가했고, 도시 중심의 대규모 공장이 속속 들어섰습니다.이러한 기술 혁신은 단순히 물건을 대량생산하는 데 그치지 않았습니다. 기차, 증기선, 도로망 등 교통수단의 혁신, 철강 산업과 광업의 비약적 발전은 유럽 각국에 산업화의 열풍을 일으켰고, 생산된 제품을 전 세계로 판매하기 위한 시장 확보 경쟁은 제국주의로 이어졌습니다. 유럽 각국은..
-
메이지 유신 vs. 조선의 개혁, 왜 그 결과는 달랐는가? _ 일본과 조선, 근대화의 갈림길에서 갈라지다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11. 22:07
동아시아를 덮친 문명의 충격, 양국의 선택19세기 중반, 동아시아는 격랑의 시대를 맞이했습니다. 1853년 미국의 페리 제독이 일본 에도만에 흑선(黑船)을 끌고 나타나 개항을 요구한 사건은 동아시아 세계에 커다란 충격을 던졌습니다.중국은 아편전쟁(1840) 이후 서구 열강에 문을 열 수밖에 없었고, 일본과 조선 또한 더 이상 폐쇄적인 질서 속에서 살아갈 수 없다는 현실을 마주하게 됩니다.일본은 이 충격에 개혁으로 응답했고, 조선은 저항으로 응답했습니다. 그로 인해 두 나라는 완전히 다른 길을 걷게 되었고, 그 결과는 조선의 식민지화와 일본의 제국으로의 도약이라는 극단적인 차이를 만들어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본의 메이지 유신과 조선의 개화 시도를 비교를 비교하며 그 배경과 결과를 되짚어보겠습니다. 메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