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
불교로 세계를 품은 나라, 고려: 국교로서 불교의 세계사적 의미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4. 06:08
불교를 국교로 삼은 고려, 정치와 정신을 통합하다고려(918~1392)는 건국 초부터 불교를 국교로 공식 채택한 나라였습니다. 이는 국가 정체성과 정치 이념을 불교 위에 구축한 독특한 모델이었지요. 태조 왕건은 고려 건국 직후부터 왕즉불(王卽佛), 즉 국왕이 곧 부처의 대리인이라는 개념을 통해 불교적 이상과 왕권의 정당성을 연결시켰습니다. 이로써 고려의 불교는 개인의 수행이나 기복 신앙을 넘어, 국가를 지탱하는 중심 철학이자 대외 인식의 틀이 되었습니다. 특히 왕실과 귀족층이 불교를 전폭적으로 후원하면서, 고려는 사찰과 승려를 국가 체제 내에 편입시키고, 동시에 불교를 통한 대내 안정과 대외 위신 제고를 실현하고자 했습니다. 이는 서양 중세의 기독교 군주정과 유사한 구조로, 세계사적으로도 정치와 종교가 ..
-
고려의 개성, 세계를 향해 열린 수도: 벽란도와 함께한 중세 동아시아의 국제도시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3. 23:44
개성과 벽란도, 세계로 통하는 고려의 창한국사에서 고려는 '귀족의 나라'로 기억되곤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반쪽자리 인식일 뿐입니다. 고려는 단지 내정에만 머무르지 않고 수도 개성과 외항 벽란도를 통해 세계로 나아간 중세 동아시아의 대표적 개방국가였습니다. 개성은 당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중국 송과의 교류는 물론, 거란, 여진, 일본, 아라비아 상인들까지 오가는 국제도시의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핵심적 관문이 바로 예성강 하류에 위치한 벽란도였습니다.벽란도는 단순한 항구가 아니라 국제 무역항이자 외국 상인의 집결지였습니다. 특히 송나라 사신은 물론, 페르시아, 아라비아 출신의 무슬림 상인들까지 드나들며, 고려는 동아시아를 넘어 유라시아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는..